하자관련 질문/사례

시스템창호 유리깨짐

G 황군차차 6 2,280 2021.12.21 06:03
금이간것으로 추측되는 기간 범위

토요일 ~월요일

토 영하10도

일 영하5도

월 영상10도

 

창사항

이건알루미늄시스템창호

3중로이유리 예전협회글 참조 2번 5번 로이코팅으로 추측됨(라이터실험 실제 불색깔은 내부기준 2번만 파란색을 보임)

창크기 가로 2800 세로 1800 대형 꺾임창 창위치 일조량이 좋은 남향

지난9월 준공마무리 이후 외부 시선차단을 주목적으로 업체를 통해 내부에 단열필름 시공함

 

여러글을보니 로이유리는 단열필름 시공시 열파현상이 있을수 있다고 하는데 저희창도 해당되는지 유무와 만약 그렇다하더라도

일조량 및 온도가 높지 않은 겨울철도 열파현상에 의한 하자로 볼수 있을까요?

3일간 온도차가 심한데 이것이 이유가 될수있을까요? 아니면 창호유리자체의 하자일까요??

위치와 여건상 외부나 내부 충격에 의한 파손은 거의 없다고 사료됩니다  자문부탁드립니다 ㅠ 신축집인데 너무 속상하네요 ㅠ

 

Comments

G 황군차차 2021.12.21 06:06
아그리고 저희창의 경우 만약 열파우려가 있다면 비싸게 업체통해 시공했는데 필름을 다 제거해야할까요 ㅠ
필름보단 유리가 먼저기에 ....
M 관리자 2021.12.21 09:19
네. 온도가 높아서라기 보다는 편차가 커지면 생기는 현상이라서요.
일단 깨진 유지를 교체하면 필름이 자연스레 제거된 셈이니까요.. 다른 유리는 그냥 두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G 황군차차 2021.12.21 13:20
그러면 단열필름에 의한 열파현상이 확률적으로 높다는 말씀일까요??
옆집테라스에서 사생활이 보여 깨진유리가 제일 차단이 필요한 유리라서요
필름업체는 당연히 필름이 잘못됐다고 말안하겠지만
열흡수형이 아니라 열반사형이고 필름지가 열을 가두는 양이 많지 않은필름이다 미국수입재로 미국서부와 이스라엘 처럼 더운나라에서 사용하는것으로 열파현상이 발생하는 필름이 아니다라고 말해 전 유리교체후 필름도 재시공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M 관리자 2021.12.21 14:22
네.. 결정은 사용자가 하시는 것이나, 다시 깨질 확률은 높습니다.
G 환군차차 2021.12.26 16:14
포털사이트 내용을보니 열반사형 필름은 로이유리 전용이라고 로이유리의 열파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도 시공하는것으로 나와있는데 잘못된 광고일까요?
이전글을 보니 높은온도와 열파는 관계가 없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오늘 갈라진 남향창유리로 일조량이 너무강해 커튼을 첫더니 금이간 줄기 끝부분 약1mm정도가 더금이가는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커튼의소재는 암막커튼으로 영화를 보기위한 스크린소재의 암막커튼입니다
유리는 로이유리 열반사형 필름시공 영화스크린소재 암막커튼  이모든게 이유일까요?
유리에 손을 대니 겨울철인데도 익을만큼 뜨겁네요
금이간 유리를 교체하고 일조량이 필름만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겨울이던 여름철이든 일조량이 강할때는 스크린형 암막커튼을  치며 생활하면 금번 발생한 열파현상은 발생하지 않을까요??...
솔직히 이런고민을 하는게 너무 어이가 없네요. .. 건축물 중엔 전체유리로 되어있는 건물도있고 훨씬 일조량이 강한 위치에 있는 건물도 있으며 전체 단열필름이 시공된 건물도 있을텐데
이게 우리나라에서 모르는사람이 없는 비싼 브랜드 창호를 써서 비싼집 짓어놓고 창깨질까봐 이것저것 자문구하는게 너무 ....  푸념이었고 죄송하지만 자세한 자문 부탁드립니다 ...
M 관리자 2021.12.27 10:30
"열반사형 필름은 로이유리 전용이라고 로이유리의 열파현상을 감소"는 허구입니다.

높은 온도 그 자체로 유리가 깨지는 않습니다. 유리에 일부 그림자가 생겨서, 유리 표면의 온도 편차가 커진 상황에서.. 유리 에지 가공이 불량한 상태가 중첩이 되면 깨질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암막도 그 원인이 될 수 있긴 합니다만, 근본적으로 유리의 가공 상태가 건전해야 합니다.

새로 유리를 교체하실 때는.. 일사에너지투과율이 0.3 이하인 유리로 해달라고 하시어요. 그러면 필름을 붙일 이유가 없어지니까요. 더 낮으면 좋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