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외창 내창 모두 로이유리인경우 결로발생?

G 김가을 2 3,097 2021.12.13 15:52

저희 집은 신축 3년차 , 19층이며 10도정도 남서향입니다.

집의 전체적으로 이중창의 경우 내창과 외창이 모두 로이유리가 시공되어 있습니다.

날이 추워지면서 외창 안쪽 유리면부터 물이 생기기 시작했으며 기온이 많이 떨어질 수록 그 정도가 심합니다.

많은분들이 시도해보시는 방법처럼 외창을 약간 열어두어보았으나 오히려 내창 안쪽면에 더 많은 물이 생깁니다.

창호는 lg하우시스라 하자신청을 해보았으나

창호설치는 잘 되어 있어 해줄게 없다고 하였습니다.

창호사이의 틈을 어느정도 막아보았지만 크게 개선되는 효과는 없었습니다.

로이유리가 보통은 내창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내창과 외창에 모두 설치되면서 생기는 문제일까요?

모두 설치된 사례는 찾지 못해 전문가 도움 요청드립니다.

개별 창호가 아닌 집안에 있는 모든 이중창에서 같은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날이 추워지면서 그 정도가 심해져 아침마다 물을 닦는 일이 보통이 아니기에 전문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1.12.13 16:26
꼭 그 것 때문에 결로가 생겼다기라기 보다는.. 결로가 생길 가능성이 원래 높은 부분인데.. 양쪽 모두 로이코팅이 되면서 그 양이 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래 글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6&wr_id=13
G 유영휘 2021.12.14 12:16
창호 배면이 단열처리가 잘 하였을 경우(열교가 없는 경우)
2중 복층창에서 결로는 없다고 봅니다.
(건축물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른 [별표 7,8 ] 실내외 기온 및 상대습도 기준에 적합하다면 그 기준 범위내에서는 결로가 없음.)

2중 로이적용은  계획설계에 따른 적용열관류율에 의거 선정되었다고 봅니다.

복층 유리성능 및 제작사양에 대하여
한***의 유의사항에
창호하부에 배수가 잘 안되면 복층유리창 내 결로 발생을 경고하고 있고,
그에 맞추어 기밀부분인 창틀 레일 하부에 닫히는 부분에 구멍을 내지 않고,
열리는 레일부분에 구멍만 내고 있습니다.
(복층유리의 구성은 단열간봉+밀봉용 부칠코킹+구조용 실리콘코킹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창호틀에 배수가 안 되어 수증기의 열복압이 발생되면 복층창 내에 공기층에 결로발생을 우려하는 것 같습니다.)

국내 창호틀에는 결로시험을 할 경우 배면은 단열이 잘된 것을 조건으로 시험하나
현장에서는 창호배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단열이 부족하거나 누락된 부분이 있어
창호배면으로 열교에 따라 표면전달경로에 의한 결로가 빠르게 나타납니다.

어느 한 곳에서는 내외부 관통형 창대석을 하여 창호 및 창대석 전체 뜯어내는 재시공 처리되었습니다.
이 경우에는 실내온도 20℃ 이하, 실내상대습도 50%RH이하로 잘 사용하였으며 외기온 –4℃에서도 물이 내부창호에서 줄줄 흐르는 경우를 보였습니다.

건축주가 외부 창호주위 석재 일부를 깨어서 창틀주위를 확인하도록 해준 결과
내외관통 창대석 설치와 창틀 배면의 단열 부실이 발견되어 창호 전체를 재시공 경우지요.
온도차이비율 공식과 습공기선도표에 의한 결로확인 결과 결로로 나와 결로현장과 계산식이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부분을 확인하지 못하였으면 우리가 알고 있는 창틀하부 구멍으로만 기밀부족으로 오인할 수도,아니면 원인불명이 될 뻔 했지요.

실제적으로 확인한 결과 레일하부 구멍은
닫히는 부분은 구멍이 나있지 않고, 열리는 부분에만 있습니다.
(교차 설치)

그래서 창문을 닫았을 때
      창짝의 교차부위의 틈
      교차부위 바닥 창짝·창틀사이 틈에서 유입되는
      기밀누수에 유의하여야 한다고 봅니다.
 (기본적인 모헤어 설치, 창짝레일 깊이유지, 교차부위 기밀처리 등이 적정처리가 중요하구요.)

그리고 창호설치 업체와 건설시공사와 설계자의 창호배면에 대한 열흐름의 이해 부족으로
단열 디테일이 부족한 것이 결로의 원인을 바로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법*감정을 하면서 2개소의 창호결로에 대한 감정을 심도있게 검토하는 계기가 이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되었습니다.

창호업체의 시방서와 시공도 역시 메인업체의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 확인도 하였구요.
(내가 다운받아 놓은 후 업체에서 열람제한 하였지만..)

제가 **한 15층이상 2곳에서 2중 복층창의 외부면 창 내측에 결로 민원은 없었습니다.
(따라서 모든 2중 복층창의 외부면 내측의 결로애 대해
 창호기능 부실과 창호배면 단열, 열교유무를 꼼꼼히 확인하면 결로 사전예방이 가능하리라 봅니다.)

특히 창호배면의 단열부족이나 열교에 따른 결로에 대하여 절대적으로 대처와 확인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너무 길어졌으나 알고 있는 사항을 공유하여 창호 결로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