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냄새원인을 알고 싶습니다.

G 아이의아빠 17 1,738 2023.01.02 11:34
안녕하세요 너무 답답한 심정에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10년된 집으로 이사를 왔는데, 도배만 새로하고 그대로 사용하고있습니다.

그러던 중 안방 옆 작은 방에서 알 수없는 냄새가 나고 해당 방에 머물면 눈도 아픈 것 같아 장시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처음에는 도배냄새인 것 같아 베이크아웃도 했지만 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도 냄새의 원인을 못찾았습니다.

 

이전 집주인과 자주 놀러온 옆집에 문의했을때 이런 냄새난 적이 없다고하네요.

 

도배해준 곳에 문의한 결과 같은 풀을 사용했기에 다른 방에서도 냄새가 나야하나 그러지않은 점. 도배에 곰팡이가 없는점을 이유로 도배에는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다른 인테리어업체에 문의해서 방문했는데, 해당 업체도 냄새의 원인을 모르겠다고하네요 곰팡이었다면 도배에 묻을거라며...

신축건물에서 나는 냄새라는데ㅜㅜ10년된 집입니다...

 

현재 방은 바깥이 외벽인 작은 방입니다. 화장실 없습니다ㅜ

습도는 낮으며, 겨울철에도 22도 난방없이 유지 중입니다. 알 수 없는 냄새가 나며, 눈이 아파옵니다.

 

너무 답답해서 이것저것 검색해보니 도배와 단열을 새로하면 된다던데, 천장 단열까지 새로 다 해볼까요?

바닥은 강마루에다가 비용문제로 어려움이 있는데, 이도 해봐야될지ㅜ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까요?

 

사람마다 냄새를 나무냄새, 습한 냄새, 새집냄새 등 다양하게 말합니다. 곰팡이냄새같지는 않다고하네요

 

Comments

M 관리자 2023.01.02 11:34
그 방에 새로 산 가구는 없나요?
G 아이의아빠 2023.01.02 11:48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처음에는 기존에 살던 곳에서 쓰던 가구를 들여놓았는데, 냄새의 원인인가 싶어서 현재 모두 다 버리고 빈 공간입니다 ㅠ_ㅠ
9 잡자재 2023.01.02 12:44
아파트인가요? 혹은 주택인가요?
G 아이의아빠 2023.01.02 13:04
2013년에 지어진 아파트 입니다 24층 중 21층이에요 ㅠ
9 잡자재 2023.01.02 13:17
너무 막연한 추측입니다만 방에 붙어있는 PS구간이 있는지의 도면 검토가 먼저인 것 같습니다.
PS가 있을 경우 상부쪽에 기밀처리가 안되어 있을 경우 실내로 냄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천장의 등을 걷어내고 냄새를 맡아봐서 확인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혹은 단열층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로 인해 나무냄새+습한냄새+새집냄새가 날 수도 있습니다.
단열층 내부의 결로인 경우 열화상카메라로 열교가 확인되는 부위를 철거해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추측이어서 두가지 경우 모두 아닐 수도 있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명확한 답변을 못드려 죄송합니다.
해당 아파트의 도면을 올려주시면 PS부위 확인이 가능하오니 가능하다면 도면을 하나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G 아이의아빠 2023.01.02 16:16
이 도면이 맞을까요? 빨간 동그라미 부분입니다. 안방에 있는 발코니만 있고, 나머지 발코니는 없습니다. 모두다 확장되어 나온 집입니다.

인테리어업체에 시공을 부탁드릴 때 어떤 부분을 해달라고 해야될지 어려워서요 ㅠ
천장과 벽 모두 새로 단열과 도배를 부탁하면 될지...
아니면 도배만 일단 뜯어달라고 하고 냄새 유무를 한번 확인해봐야될지...
어떻게 시공을 요청해야될지 어렵네요 ㅠ
9 잡자재 2023.01.02 17:24
도면상에서 PS는 없습니다. 일단 열화상 카메라로 해당실을 찍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혹시 해당 침실에 난방을 닫아놓으셨었나요?
G 아이의아빠 2023.01.02 18:23
아니요 개별난방이고, 닫아놓지는 않았습니다
최근에도 환풍기닫고 베이크아웃하라고해서 난방킨적이 있습니다ㅜ 환기하면 냄새가 덜 나나 문 닫는순간부터 냄새가 쌓이는 듯합니다
G 아이의아빠 2023.01.02 23:19
한가지 더 생각난게 코킹을 했습니다. 바닥에 틈이 있어서요.. 이것도 그방말고 다른 방에도 했습니다.
저희집 온 사람은 다른 방에도 미묘하게 냄새가 난다고 하는데, 크게 나는 것은 아니라고합니다.
같은 도배를 했는데, 전체적으로 조금씩 나고, 한곳에서 많이 날 가능성도 있나요?
공사는 6월에 도배만 했고, 그때부터 지금까지 냄새가 납니다ㅜ
9 잡자재 2023.01.03 07:38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만 도배 이후부터 냄새가 났다면 도배로 인한 문제일 확률이 가장 높습니다.
 다른 원인을 찾지못하였다면 그 방만 도배지를 제거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G 이신형 2023.01.03 09:25
답변 감사합니다.
도배지 제거해주는 업체부터 찾아봐야겠네요. 잘 없다고 하던데 ㅠ
도배지 제거 -> 냄새유무 확인 -> 그래도 난다면 단열제 제거 -> 냄새유무 확인
-> 냄새o 석고보드 제거 / 마지막까지 난다면 바닥공사까지 해봐야겠네요.
9 잡자재 2023.01.03 12:37
넵 이신형님 도배지 제거를 먼저 해보시고, 그 이후에 단열재 제거는 열화상카메라로 촬영해본 후에 특정 부위를 제거해보는게 최선의 방법인 것 같습니다.
G 아이의아빠 2023.01.03 13:27
감사합니다!
G 아이의아빠 2023.01.10 16:18
안녕하세요. 며칠 전 10년된 집에서 도배만 했을 뿐인데, 곰팡이 냄새가 아닌, 새집냄새와 같은 악취가 나서 힘들다고 문의한 적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도배지를 뜯고, 완전 방을 비우니 이전보다 냄새가 감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현재는 아무도 살지 않는 방과 같은 특유의 냄새가 나고 있습니다.
이에 어떻게 해야 다시 냄새를 나지 않을까 고민하고 원인에 대해 고민한 결과 아래와 같은 생각을 했습니다.

1. 해당 방은 다른 방과 달리 조금의 냄새도 쉽게 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커피찌꺼기를 놓아두고 하루를 보내면 방 전체에 냄새가 진동을 합니다. 다른 방은 냄새는 나지만, 진동을 할 정도의 냄새는 아니었습니다. 이에 조금의 화학적 냄새가 퍼져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을까 추측을 하였습니다.

2. 그렇다면 왜 해당 방만 냄새가 쉽게 퍼지는가에 대해서 고민하였습니다. 이에 해당 방은 바깥과 바로 닺는 방으로 다른 방에 비해 찬 공기가 들어와서 퍼지는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온도측정 결과 거실과 안방 등 다른 방은 온도 22도 습도 35가 유지되는 반면 해당 문제의 방은 20도, 습도 35도가 측정됩니다. 다른 방보다 2도정도 온도가 떨어지더군요.

질문사항
1. 다른 방과 달리 냄새가 쉽게 퍼지는 방이 생길 수 있나요? 생긴다면, 원인은 무엇일까요? 제가 생각한 대로 단열재가 있지만, 바깥과 맞닿아있어서 그런걸까요?

2. 제가 생각한 해결방법은 단열재를 좀더 방안에서 외벽과 맞닿는 부분 단열 넣고 도배하면 해결될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M 관리자 2023.01.10 20:56
1. 온도 차로 인해 냄새가 더 쉽게 퍼지지는 않습니다. 다만 창문으로의 누기가 심하다면 그럴 수 있습니다.
2. 그건 상당히 긴 글이 오고 가야 합니다. 단열을 보강하려면 기존의 석고보드와 천장의 일부를 뜯고 작업을 하셔야 해요. 지금의 석고보드 벽면에 직접 단열재를 붙이면 그 속이 엉망이 되거든요..
단열벽지라는 것을 붙이면, 그 속에 곰팡이가 가득한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일단 벽지를 뜯은 후 냄새가 감소했다면.. 당분간 환기를 잘 하셔서 해당 냄새가 완전히 사라지는 지 보시고, 나중에 벽지만 새로 하는 것이 어떨가 싶습니다.
G 아이의아빠 2023.01.11 11:42
창문은 다른 방도 동일하여 누기로 인한 냄새는 아닌 것 같은데 원인을 모르니 답답하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혹시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한 가지 질문을 더 해도 될까요?

방안에서 외벽이 닿는 그 벽이 다른 벽과 달리 누르면 살짝 들어가는 느낌과 소리가 납니다.( 냄새로 부른 인테리어업체는 해당 벽이 원래 그렇다고 하더군요.)
다른 벽은 단열재 부분의 석고보드인데도 눌렀을 때 소리가 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누르면 소리나는 벽쪽에서 찬 공기가 들어와 냄새가 나는 것은 아닐까? 싶은데 가능성이 있나요?
해당 벽을 단열재 보강하면서 다른 벽과 동일하게 눌렀을 때도 소리안날 정도로 단단하게 세우고 싶은데 가능한 시공인가요?
M 관리자 2023.01.11 17:27
그 내부를 한번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같은 석고보드로 마감이 되었으나, 그 석고보드가 살짝 밀리는 것인지.. 아니면 석고보드 시공이 누락된 것인지가 확인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당연히 눌렀을 때 소리나 눌림이 없는 것이 정상이며, 그렇게 시공되어야 하고, 시공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