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이야기

설계/시공/하자 등의 모든 질문 글은 해당 게시판에 해주세요.

여기에 적으시면 답변 드리지 않습니다.

 

표준 신유효온도(SET*) 의미

G 롬파롬파 5 1,929 2022.04.01 21:26

 안녕하세요, 혹시 협회내 전문가분들께 표준 신유효온도(SET*) 개념 이해에 대한 도움을 구할 수 있을까싶어 글을 남깁니다.

 

온열 쾌적범위 기준을 찾다보니, 표준 신유효온도라는 지표를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참고했던 논문에서 설명하기로, 표준 신유효온도는 ASHRAE에서 채택해서 사용하고 있고

주어진 대사량에서 표준적인 착의량을 한 재실자가 체표면에서 실제 열환경에서와 동일한 열 스트레스(피부 발열량)와 열 스트레인(피부 젖음률)을 경험하게 되는 상대습도 50%에서의 가상적인 등온 열환경의 기온으로 정의된다고 합니다.

 

또한, 쾌적 온도 범위는 23.8도<SET*<26.8도로 나와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이렇게 나타난 쾌적 온도 범위는 단순히 건구 온도가 23.8도 ~ 26.8도라는 의미냐는 겁니다.

 

이걸 궁금해했던 이유는, 보통 쾌적범위를 말할 때, 건구온도와 상대습도를 모두 고려하는 걸로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로 들면, PMV라는 쾌적지표는 (복사온도나 착의량, 활동량 등의 인자는 물론이고) 건구온도와 상대습도를 모두 반영해서 구하고

ASHRAE에서 쾌적범위로 -0.5<PMV<0.5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앞에서 말씀드린 SET*로 정의된 쾌적 범위는 온도만 나와 있어서, 상대습도를 고려하지 않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분명 SET*도 상대습도를 고려한 지표인 것 같은데, 어떻게 이해해야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이 지표에 대해 알고 계시는 분이 계신다면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참고논문: 여름철 사무실내 한국인의 온열감 평가, 배귀남, 이철희, 이춘식, 1995

Comments

M 관리자 2022.04.02 10:22
안녕하세요..

모르고 있었고, 혹시나 해서 ASHRAE 에서 뒤져 보았는데.. 불행히도 찾지 못해서, 무언가 추정도 할 수 없었습니다.
도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G 롬파롬파 2022.04.02 17:11
아 그렇군요.. 어쩔 수 없죠 ㅎㅎ 그래도 관련내용 찾아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추가로 검색해서 찾았던 사이트들인데 혹시라도 저와 같은 궁금증 가지고 계신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서 남깁니다!

https://archi.inup.co.kr/post/read.jsp?id=64119&coed=
https://rhadirl.tistory.com/10
참고로 SET*에 대해 나와있는 ASHRAE 문서는 ASHRAE-55-2010이었습니다!
M 관리자 2022.04.02 21:30
앗.. 그럼 이미 답을 얻으신 거 아니어요?
내용이 다 있는 것 같은데요...
G 롬파롬파 2022.04.04 00:38
아 부끄럽게도 제가 자료들은 찾았지만, 이걸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질문을 올렸습니다 ㅠㅠ
본문에 나온 쓴것처럼, 어떠한 기관에서 쾌적구간을 23.8도<SET*<26.8도 이렇게 정의했다면, 제 직감적인 느낌으로는, 에어컨과 같은 공조기로 실내 건구온도를 23.8도~26.8도만 맞추면 되는 게 아니라, 상대습도 또한 조절해야 할 것 같은데, 이 습도에 관한 해석을 못해서였습니다 ㅎㅎ
M 관리자 2022.04.04 09:56
적어 주신.. ASHRAE-55-2010 의 내용 중에,
쾌적범위를 비교하는 그래프의 제목에 있는 내용 중에 "at humidity ratio 0.010" 에서 부터 시작하시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Figure 5.2.3.2 Acceptable range of operative temperature and air speeds for the comfort zone shown in Figure 5.2.1.1, at humidity ratio 0.010